• 미디어센터
  • 보도자료

보도자료

명태… 탄소중립… 제각각 이슈 키워드는 ‘지속가능한 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119회 작성일 21-10-28 15:04

본문

4f071ace318a733ed9062bb6e4f5850b_1660636617_16.jpg
명태산업 지속가능성 위한 공동의 노력 심포지엄에서 참가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MSC 제공 



지난 3~5일 부산벡스코에서 ‘2021 부산국제수산엑스포’가 열렸다. 엑스포의 부대 행사로 명태, 탄소 중립 등 다양한 이슈를 내세운 심포지엄이 열렸는데 이를 꿰뚫는 키워드는 지속가능한 바다였다. 


국내 생산 ‘0’전량 수입 명태

미국, 최소 수준 어획량 할당

알래스카 명태 건강하게 유지

“연근해어업 생산량 감소세

탄소중립 늦어지면 더 줄 것”


■명태를 계속 맛보기 위해

명태는 멸치에 이어 국내 어류 소비 어종 2위다. 하지만 국내 생산은 1970년대 5만t에서 80년대 15만t까지 늘어났지만 90년대 1만t 수준으로 떨어졌다. 2008년 이후 공식적인 국내 명태 생산량은 ‘0’이다.

국내에서 인기 있는 생선이지만 국내에서는 잡히지 않는 아이러니한 생선인 셈이다. 이러한 명태를 계속 맛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명태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이 국제수산엑스포 기간동안 열렸다.

심포지엄에서 에리카 펠러 MSC(해양관리협의회) 아메리카지역 총괄 디렉터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알래스카 명태어업의 노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미국 알래스카 명태 어업은 MSC 어업표준을 획득한 전 세계 최초 12종 어업 중 하나로, 지속가능성에 관한 16년이라는 긴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 펠러 디렉터는 “명태 어업의 혼획비율은 1% 미만으로, 명태 어업에는 바다사자는 물론 기타 생물종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옵저버의 모니터링이 100%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획 할당량을 낮게 설정하고, 지속가능한 최대 생산량 이하로 어획 수준을 설정한 이후로 명태 자원은 건강하고 지속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알래스카 명태 어업에 대해 설명했다.

김지웅 부경대 해양수산경영학과 교수는 ‘국내 명태 공급사슬 구조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산업적 측면에서 명태를 설명했다. 국내 시장의 명태는 러시아와 미국에서 6대 4 정도의 비율로 수입한다. 김 교수는 “공급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작은 차질에도 가격이 널을 뛴다”며 “이 경우 가격 변동을 감당하지 못한 산업의 약한 고리들이 끊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김 교수는 소비자의 중요성을 꼽았다. 김 교수는 “소비자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을 담보한 제품을 구매한다면 이러한 공급망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수 덕화푸드 대표는 ‘역사를 잇는 지속가능한 명란 이야기’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장 대표는 “역사 문헌 속에 남아있는 최초의 명태가 1691년 최창대 〈수성가〉 일 정도로 우리 민족과 명태는 떼어놓을 수 없다”며 “명태를 부르는 것이 동태, 생태, 먹태, 황태 등 매우 다양한 데에는 그만큼 오랜 역사가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우리 민족과 오랜 기간을 함께한 만큼 명태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설명했다. 장 대표는 “연어를 잡아먹고 살던 인디언 부족이 연어가 사라지자 축제는 물론 기존 식습관, 행동반경 등이 모두 변했다”며 “우리도 명태가 사라지자 우리 전통의 명란 제조법을 아쉽게도 잊어버렸다”고 말했다.


■탄소중립 없이 자원 회복 없다

매년 부산수산엑스포기간에 업계의 최고 이슈를 정리하는 제16회 부산수산정책포럼의 주제는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한 미래 수산업 발전 전략모색’이었다.

'탄소중립이 수산어촌분야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 박준모 연구위원은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노후어선을 폐기하고 어선의 노후기관을 중단해야 함은 물론 양식장의 친환경 고효율 시설 전환 등이 요구된다”며 “어선이나 기관 교체는 물론 어촌의 재생에너지 보급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중립화를 위한 아이디어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의 탄소 중립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김도훈 부경대 해양수산경영학과 교수는 “2019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약 91만t으로 1986년에 비해 절반 수준”이라며 “탄소중립을 하지 않으면 결국 우리 연근해의 자원은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뿐만 아니라 순환경제 자원화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폐어구의 양은 약 4만 4000t으로 이를 통한 손실액은 4000억 원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불필요한 자원 낭비로 탄소 발생을 가중하지 않도록 폐어망, 어선 등을 활용한 순환경제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본 취재는 부산광역시 지역신문발전지원 보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